본문 바로가기

탈모이야기/탈모정보

[라디오한방정보방송/이문원한의원/tbs한방백과/FM95.1] tbs 한방백과 월~금 진행:이문원 한의학 박사

 

 

 

 

기분좋은방송 TBS 한방백과

 

월~금 FM 95.1 AM11:55 방송

 

진행: 이문원 한의학 박사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꼭 필요한 건강백서!

예로부터 전해온 우리의 한의학을 통해 건강하게 살아가는 법을 배워봅시다.

 

 

FM 95.1 매주 월~금요일 11:55(AM) 방송

 

 

 

 

 

 

안녕하세요Tbs 한방백과한의사 문원입니다.

 

 

 

'신윤복- 단오풍경' 출처- 네이버

 

오늘은 옛날사람들의 머리감기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옛날에는 머리를 자주 감지 않았습니다. 그때는 지금보다 지방이나 단백질 섭취가 많지 않다보니 피지분비량도 많지 않았고 공해나 환경오염이 없었기 때문에 지금처럼 매일 머리를 감을 필요는 없었던 것이죠. 더군다나 머리가 길었기 때문에 머리를 감고 말리는데 시간이 많이 걸려서 일부러 자주 감지 않으려고 했을 겁니다.

가난한 사람들은 머리를 감을 때 거의 물로만 감았다고 하고, 양반네나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창포 달인 물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했었습니다.

그래도 단오날 하루만은 가난한 사람도 창포로 머리를 감았다고 합니다.

단오날에는 창포물에 머리감는게 세시풍속이었는데 아름다운 머릿결을 갖고 또 나쁜 귀신을 쫒는다는 의미로 창포를 끊인 물에 머리를 감았습니다.

창포는 그 잎이 칼처럼 곧게 자라기에 나쁜 귀신이 달라붙지 못하게 한다고 옛날 사람들은 믿었고, 그 향이 은은하며 머릿결을 윤기있게 해줬습니다.

 

'창포' 출처- 네이버

 

 

그러면 창포 말고 또 무엇이 있었을까요?

창포 외에도  수수, , , , 쌀겨나 녹두가루 등로도 씻었다고 합니다.

이것을 “더러움을 날아가게 한다”는 뜻인 “비루”라고 불렸고, 부자들은 이걸로 손이나 얼굴을 씻었다고 합니다. 지금의 비누는 이 “비루”에서 비롯된 말입니다. 이렇게 녹두와 콩, 팥 등을 갈아서 만든 비누는 “조두”라고도 불렀는데 조두는 피부를 희게 해 주어 특히 궁녀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고, 그래서 경복궁에 흐르는 금천은 항상 뿌연색을 띠었다고도 합니다.

조두를 만들 형편이 못되는 집에선 콩깍지 삶은 물 혹은 쌀겨를 무명주머니에 담아 썼다고 합니다. 그래서 살결이나 머릿결이 좋은 여자를 보면 방앗간집 딸이라고 빗대었다고 하네요. 방앗간 집에선 충분히 쌀겨를 언제든지 구할 수 있었을테니까요.

 

우리가 흔히 양잿물이라고 부르는 가성소다를 쓴 시기는 조선말의 개항이후였습니다. 1901년 프랑스인인 리델이 쓴 <서울옥중기>를 보면 1878 2월에 자신이 비누로 손을 씻을 때 거품이 나는 것을 보고 옥졸들이 마술이라며 놀랐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 때가 우리나라에 비누가 최초로 소개된 때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러고 보면 옛날에는 지금처럼 잘 씻지도 않았는데 탈모가 그리 많지는 않았던 걸 보면, 씻는 행위보다 더 많은 영향을 주는 요소가 있나 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안 씻으면 안되겠죠? 지금은 많은 물리 화학적 오염에 많이 노출되기 때문에 잘 씻는게 중요해졌습니다.

 

 

 

 

탈모하면 이문원

모발재생센터 이문원한의원

 

 

 

 

한방탈모치료분야를 이끌어가는 존재로 성장

 

 

 

 

 

외국인진료가능

중국어,일본어,영어 진료가능

 

 

 

 

 

 

문의전화

02-511-1079

 

 

 

 

 

<모발나이를 되돌려 드리는 모발재생센터 이문원한의원>